
교재홍보 다음의 교재를 바탕으로 실습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교재 구매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83568594 이번 글에서는 Django를 통한 웹개발을 다루며 MVC흐름에 익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0. HTML 템플릿 HTML과 CSS가 적용된 교재 템플릿은 다음의 github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책 저자 깃허브 : https://github.com/doorBW/Django_with_PracticeExamples 템플릿 적용은 바로 다음 실습에 알아보도록 하자. 1. github에서 레퍼지토리 만들기 2. github의 레퍼지토리를 로컬환경에 생성하고 VS Code 실행 $ git clone # 원하는 위치에 파일 생성 $ cd test_djan..

Python을 가상환경에서 구현하기 위해 VS Code를 활용해 보았습니다. 1. 먼저 github에서 repositary를 만들어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해 줍니다. 2. github에서 URL복사 후 생성을 원하는 곳에 git clone으로 프로젝트 폴더 생성합니다. git clone 3. 다음의 코드를 실행하여 프로젝트폴더 위치에서 VS Code를 엽니다. cd code . 4. 성공적으로 VS Code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터미널을 실행해줍니다. 5. 터미널 창에서 아래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 Git Bash를 실행해줍니다. 6. Git bash창에서 다음의 코드를 순서대로 실행해 보고 가상환경을 활성화/비활성화 해본다. $ which python # 현재 파이썬 환경 확인 $ pip inst..

Python을 가상환경에서 구현하기 위해 Pycharm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 1. 먼저 github에서 repositary를 만들어 프로젝트를 새로 진행해 줍니다. 2. github에서 URL복사 후 생성을 원하는 곳에 git clone으로 프로젝트 폴더 생성합니다. $ git clone 3.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하여 파이참을 열어줍니다. 4. 성공적으로 파이참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창이 뜨는데 우측 상단의 셋팅을 눌러줍니다. 5. 좌측 명단에서 프로젝트명에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 더블클릭하고 Python Interpreter에 들어가 Add interpreter의 Add Local Interpreter를 눌러 줍니다. 6.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는데 변경하지 않고 OK를 눌러줍니다. ..
상관분석 연속형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할 때 사용상관관계 원인과 결과가 불분명한 관계로 순서가 없다. ex) 키와 몸무게 인과관계 선행하는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관계로 성립하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상관관계가 존재 2) 순서가 존재(원인->결과) 3) 제 3의 변수가 존재하지 않음 ex) 열을 가하면 물이 끓는다. 인과관계의 오류 : 아이스크림의 판매량이 증가하면 익사자가 증가한다. 기온과 익사자가 서로 인과관계이다. 공분산 두 변수가 함께 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0 이면 두 변수가 독립이다. 단위에 따라 크기가 달라져 판단이 어렵다. 상관계수 두 변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치 공분산을 -1 ~ 1 범위로 표준화 시킨 것이다. 값의 범위에 따라 양..
Class란? 함수와 변수를 하나의 객체로 묶어서 선언하는 것으로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에 객체(instance)를 생성하여 사용가능하다. class의 특징 독립된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므로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속을 통해 빠른 기능구현이 가능. # var_1과 func_1을 묶어 myClass라는 클래스 선언 class myClass: var_1 = "'Hello Class >>> Class Member'" def func_1(self): var_2 = "'Method >>> Instance Member'" print(self.var_1, 'AND', var_2) obj = myClass() # obj라는 객체(instance)를 생성 Member 및 Method Class Method : clas..
학부때부터 코딩을 어느정도 배우고, SQLD를 따기는 했지만 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한 역량이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여러가지 알아본 결과 K-digital training이라는 국비교육을 알게 되었고, 여러 후기들을 찾아보니 지금 상황에 좋은 교육이라고 생각해 과정에 등록하게 되었습니다. 교육을 신청하고 수강하고 이제 1차 과정을 끝마쳤지만 그동안 전혀 배우지 못했던 컴퓨터 하드웨어와 OS, 그리고 프로그램들이 어떤식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배우고 새로운 OS인 리눅스를 다루는 법을 배우게 되어 저 자신을 발전 시킬 수 있는 교육이 될 것 같아 보람을 느끼며 수강하고 있습니다. 학습한 내용 중 다시 한번 봐야할 내용들이나 진행과정에서 어려웠던 점, ..